로고

백태현 경남도의원 “경남 노인 일자리 이대로 괜찮나”

월 29만원 공익형에 머물러

박찬호 기자 | 기사입력 2025/06/20 [15:07]

백태현 경남도의원 “경남 노인 일자리 이대로 괜찮나”

월 29만원 공익형에 머물러

박찬호 기자 | 입력 : 2025/06/20 [15:07]

▲ 백태현 경남도의원.

 

[브레이크뉴스=박찬호 기자]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노인의 육체적 수준과 개인별 역량 향상이 뚜렷해지면서 노인 일자리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백태현 의원은 20일 열린 제424회 정례회 5분 발언에서 지난 3년간(2022∼2024년) 경남의 노인 일자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며 노인 일자리 정책의 대대적인 전환을 촉구했다. 

 

백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기준 경남의 노인 일자리 참여 인원은 73,482명으로 3년 전보다 19.7% 증가했지만, 유형별로 볼 때 3년 평균 전체 노인 일자리의 80.8%를 ‘공익형 일자리’가 차지하고 있다. 공익형은 하루 3시간 근무에 월 29만 원의 수당이 지급되는데, 지난 2004년 노후 소득보장 체계가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높은 노인빈곤율에 대응해 도입된 일자리이다.

 

백 의원은 “공익형이 노인의 소득 보전에 일조한 것은 틀림 없지만, 생계를 이어가기에는 턱없이 부족하고 근무시간도 짧아 ‘일자리’라고 하기에는 민망한 수준”이라며 “도입 20년이 흐른 지금, 아직도 시혜성인 공익형 일자리가 80%를 차지하는 노인 일자리 사업을 이대로 둬도 괜찮은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20년 전 노인과 지금의 노인은 노동의 양적·질적 측면에서 현격한 차이가 있다. 노인을 단순한 복지 대상으로 주저앉히는 것은 그들의 능력과 기술을 허비할 뿐 아니라 괜한 사회적 비용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백 의원은 “공익형 일자리를 넘어서기 위해 필요한 것은 대단한 새로운 사업이 아니다. 일자리를 ‘일자리’ 답게 만드는 것”이라며, 노인 일자리를 ‘돈을 주려고 그냥 만든 일’ 말고 정의된 역할과 책임이 있는 직무로 구체화하며(‘직무화’), 직무가 생겼다면 공공지원과 교육, 보상, 고용안정까지 연결되는 구조로 만들고(‘제도화’), 전국적으로 똑같은 일자리보다는 각 지역의 수요와 특성에 맞는 지역맞춤형 일자리 발굴(‘지역화’)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생의 마지막까지 지역에 머무를 노인의 활동을 지역에 맞게 발굴해 그로 인해 경제력을 갖춘다면 지역소멸을 막는 핵심적인 무기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를 위해 이러한 구조와 사업을 설계하고 총괄할 노인 일자리 전담기구 마련을 촉구했다.

 

백 의원은 “복지에서 참여로, 양에서 질로, 노인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관점을 바꿔야 시기가 도래했다”며 “경남이 앞서서 노인 일자리 정책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마무리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using ‘Google Translate’.‘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ncrease understanding.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nam Provincial Assemblyman Baek Tae-hyun: “Is Gyeongnam’s Elderly Jobs Okay as They Are?”

 

Staying at 290,000 Won per Month in Public Interest

 

As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due to the entry into a super-aging society, and the physical level and individual capabilities of the elderly are clearly improving, there are growing calls for changes in the elderly employment policy.

 

In a 5-minute speech at the 424th regular session held on the 20th, Assemblyman Baek Tae-hyun presented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elderly employment status in Gyeongnam over the past three years (2022-2024) and called for a major change in the elderly employment policy.

 

According to Assemblyman Baek, as of 2024, the number of elderly job participants in Gyeongnam increased by 19.7% from three years ago to 73,482, but when looking at it by type, ‘public interest jobs’ account for 80.8% of all elderly jobs on average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public service type pays a monthly allowance of 290,000 won for 3 hours of work per day, and was introduced in 2004 in response to the high elderly poverty rate in Korea, where the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is lacking.

 

Rep. Baek said, “It is true that the public service type has helped to secure the income of the elderly, but it is not enough to make a living, and the working hours are short, so it is embarrassing to call it a ‘job. ’” He asked, “Twenty years after its introduction, is it okay to leave the elderly job creation project, in which 80% of public service jobs are still charity jobs, as it is?”

 

He continue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labor between the elderly 20 years ago and the elderly today. Relegating the elderly to mere welfare recipients not only wastes their abilities and skills, but also consumes unnecessary social costs.”

 

Rep. Baek said, “What is needed to go beyond public interest jobs is not a great new business. It is to make jobs ‘jobs’,” and pointed out that it is important to specify senior jobs as jobs with defin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rather than ‘jobs created just to pay’ (‘jobization’), to create a structure that connects public support, education, compensa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if jobs are created (‘institutionalization’), and to discover regionally customized jobs that fit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rather than jobs that are the same nationwide (‘regionalization’).

 

He argued that if we discover the activities of seniors who will stay in the region until the end of their lives and gain economic power through them, it will be a key weapon in preventing the extinction of regions. To this end, he urged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senior job organization that will design and oversee such structures and projects.

 

Rep. Baek concluded by saying, “The time has come to change the social perspective on senior jobs from welfare to participation and from quantity to quality,” and “Gyeongnam can take the lead and create a new model for senior job policies.”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