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진주시, 공무원 사칭 보이스피싱 기승…시민·업체 주의보 발령

가짜 공문·위조 직인 이용해…정식 계약 절차 외 요구 ‘의심’

정철규 기자 | 기사입력 2025/06/19 [16:37]

진주시, 공무원 사칭 보이스피싱 기승…시민·업체 주의보 발령

가짜 공문·위조 직인 이용해…정식 계약 절차 외 요구 ‘의심’

정철규 기자 | 입력 : 2025/06/19 [16:37]

▲ 진주시청 전경. 사진제공=진주시.


[브레이크뉴스=정철규 기자] 최근 진주지역에서 시청 공무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진주시는 관내 업체를 대상으로 한 구매대행 및 선금 요구 사기 수법이 확인됐다며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가해자는 진주시청 공무원을 사칭해 가짜 명함과 위조된 공문을 제시하고, 실제 공공사업과 유사한 명목으로 접근해 업체에 물품 구매대행을 요청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대표 사례로, 한 인테리어 업체에 방화문 설치 관련 계약을 빌미로 접근한 뒤, 심장제세동기(AED) 구매를 대행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업체 대표가 의심을 품고 피해를 피했다.

 

또 다른 사례는 귀농·귀촌 지원 사업을 사칭해 묘목 구입을 언급하며, 2시간 뒤 입금하겠다는 조건으로 영농작업복 1350만원을 선결제 해달라는 시도가 있었다.

 

진주시가 확인한 결과, 사기범이 사용한 문서는 실제 시청 직인과 유사하게 위조됐고, 공문 형식도 공식 양식과 거의 흡사해 정식 문서로 착각할 수 있는 수준이다.

 

시는 이번 수법이 최근 다른 지자체에서 발생한 ‘공무원 사칭 물품 구매 사기’ 사례와 동일하며, 전국적으로 유사 범죄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진주시 관계자는 “공공기관은 절대 민간업체에 선결제나 구매대행을 요청하지 않는다”며 “이러한 요청이 있을 경우 반드시 기관에 직접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inju City, civil servant impersonation voice phishing on the rise… Citizens and businesses issued a warning

Using fake official documents and forged seals… ‘Suspicion’ of demands outside of formal contract procedures

 

Recently, voice phishing crimes impersonating city hall officials have been occurring one after another in the Jinju area.

 

Jinju City requested special caution, saying that a fraudulent method of requesting purchases and advance payments targeting local businesses has been confirmed.

 

The perpetrators are using a method of impersonating Jinju City Hall officials, presenting fake business cards and forged official documents, and approaching businesses under the pretext of actual public projects to request purchases on their behalf.

 

As a representative case, a case approached an interior design company under the pretext of a contract for installing fire doors, and then asked them to purchase an external defibrillator (AED), but the company representative became suspicious and avoided the damage.

 

Another case involved an attempt to request an advance payment of 13.5 million won in farming work clothes under the pretense of purchasing seedlings under the condition of a deposit after two hours, under the pretense of a farming/rural support project.

 

As a result of Jinju City’s verification, the document used by the fraudster was forged to resemble an actual city hall seal, and the format of the official document was so similar to the official format that it could be mistaken for an official document.

 

The city reported that this method is identical to the recent ‘civil servant impersonation product purchase fraud’ cases that occurred in other local governments, and that similar crimes are spreading nationwide.

 

A Jinju City official emphasized, “Public institutions never request advance payments or purchasing agency services from private companies,” and “If such a request is made, you must check with the institution directly.”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