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현대로템, 지속 가능한 미래 구현 위한 철도 사업 로드맵 공개

2025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 참가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5/06/18 [11:23]

현대로템, 지속 가능한 미래 구현 위한 철도 사업 로드맵 공개

2025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 참가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5/06/18 [11:23]

▲ 현대로템 2025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 참가 부스 모습.


[브레이크뉴스=이성용 기자] 현대로템은 18일부터 2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부산국제철도기술산업전’에 참가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K-철도 기술의 청사진을 제시한다.

 

올해로 12회를 맞이한 이번 행사는 격년으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철도 전시회로 국내외 2만명 이상의 참관객이 찾아 최신 철도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다.

 

현대로템은 국내 대표 고속철도차량 제작사로서 ‘사람과 기술을 연결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는 슬로건을 앞세워 재작년에 이어 올해도 국산 철도기술의 모든 것을 망라하는 사업 로드맵을 공개한다.

 

우선 현대자동차그룹의 수소 브랜드이자 비즈니스 브랜드 플랫폼인 ‘HTWO’에 발맞춰 수소 밸류체인(Value Chain) 생태계를 보여주는 테마관이 전면에 배치된다. 현대차그룹은 HTWO를 통해 그룹사의 수소 에너지 기술과 사업 역량을 결집하고, 외부 파트너십 구축과 투자 유치를 가속화해 국내외 사업 확대에 나서고 있다.

 

이어 현대차그룹의 수소 모빌리티 라인업 확장과 더불어 수소 밸류체인 전반을 아우르는 수소 사업 확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처음 공개되는 대형 디오라마는 생산부터 저장, 운송, 활용까지 모든 단계가 구축된 수소 사회 안에서 수소 모빌리티가 어떻게 미래 도심을 누비는 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대전 2호선 수소전기트램에 적용되는 플랫(flat)형 수소연료전지 모듈 실물도 첫 선을 보인다. 기존 수소 자동차에 들어가던 수소연료전지의 높이를 낮춘 형태인 플랫형 수소연료전지는 공간에 제약이 있는 철도차량이나 광역버스 등 특수한 차량에 적합하도록 고안됐다. 이번 플랫형 수소연료전지는 수소 모빌리티 확장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향후 더욱 다양한 고객들이 보다 용이하게 수소 에너지를 활용할 접근성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또 수소전기트램·수소동력차·수소동차 등 모형 전시를 통해 수소철도차량 라인업을 소개할 계획이다. 참관객이 직접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수소전기트램 그림을 그려보는 체험 공간도 준비됐다.

 

고속차량 라인업이 자리한 부스 왼쪽에는 현재 개발 중인 EMU-370 모형이 처음으로 공개된다. 차세대 동력분산식 고속차량인 EMU-370은 지난 30년간 민·관이 힘을 합쳐 진화를 거듭한 국산 고속차량의 기술력과 경험이 총 집약되는 차량으로 운행 효율과 승객 안전, 편의성에 대폭 개선이 이뤄질 예정이다. 

 

지난해 사상 첫 국산 고속차량 수출을 이끌어낸 우즈벡 고속차량의 핵심 부품들이 실물로 첫 전시되고, KTX-산천(동력집중식)과 KTX-청룡(동력분산식) 고속차량 모형도 함께 참관객을 맞이한다.

 

차량 양끝에 동력 기관이 설치된 동력집중식과 달리 모든 차량에 동력 기관이 있는 동력분산식 차량은 가감속과 수송 효율성이 높아 글로벌 시장에서 더 선호되는 모델로, 우즈벡 고속차량 역시 KTX-이음을 기반으로 설계되는 동력분산식 차량으로, 국내에서 쌓은 고속차량 제작·운영 실적이 해외에서도 인정받은 사례라는 점에서 상징성을 갖는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국산 고속철의 사상 첫 수출과 함께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활용한 연구개발이 원활하게 이뤄진 것은 모두 K-철도의 기술력을 믿고 이용한 시민들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K-철도의 위상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높아지고, 신뢰에 보답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using ‘Google Translate’.‘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ncrease understanding.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Hyundai Rotem Unveils Railway Business Roadmap for Sustainable Future

 

Participation in 2025 Busan International Railway Technology Industry Exhibition

 

Hyundai Rotem will present a blueprint for K-railway technology that will lead the global market by participating in the ‘2025 Busan International Railway Technology Industry Exhibition’ held at BEXCO in Busan from the 18th to the 21st.

 

This year marks the 12th anniversary of the event, which is the largest railway exhibition in Korea held every other year, and is a place where more than 20,000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sitors come to share the latest railway technology and industry trends.

 

As a leading domestic high-speed railway vehicle manufacturer, Hyundai Rotem is unveiling a business roadmap that encompasses all aspects of domestic railway technology this year, following the year before, under the slogan ‘Connecting people and technology to create a sustainable future.’

 

First, in line with ‘HTWO,’ Hyundai Motor Group’s hydrogen brand and business brand platform, a theme pavilion showing the hydrogen value chain ecosystem will be placed at the forefront. Hyundai Motor Group is expanding its domestic and international business by consolidating its hydrogen energy technology and business capabilities through HTWO and accelerating the establishment of external partnerships and investment attraction.

 

In addition, Hyundai Motor Group is expanding its hydrogen mobility lineup and expanding its hydrogen business covering the entire hydrogen value chain. In particular, the large diorama, which is being unveil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vividly shows how hydrogen mobility will run through future cities in a hydrogen society where all stages from production to storage, transportation, and utilization are established.

 

The flat hydrogen fuel cell module applied to the Daejeon Line 2 hydrogen electric tram is also being unveiled for the first time. The flat hydrogen fuel cell, which is a lower-height version of the hydrogen fuel cell used in existing hydrogen cars,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special vehicles such as railway vehicles and metropolitan buses with limited space. This flat hydrogen fuel cell is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accelerates the expansion of hydrogen mobility but also provides accessibility for a wider range of customers to utilize hydrogen energy more easil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hydrogen railway vehicle lineup will be introduced through model exhibitions of hydrogen electric trams, hydrogen powered cars, and hydrogen electric trains. An experiential space has also been prepared where visitors can draw pictures of hydrogen electric tra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On the left side of the booth where the high-speed vehicle lineup is located, the EMU-370 model, currently under development, will be unveiled for the first time. The EMU-370, a next-generation distributed power high-speed vehicle, is a vehicle that integrates the technology and experience of domestic high-speed vehicles that have evolved through public-private collaboration over the past 30 years, and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improve operating efficiency, passenger safety, and convenience.

 

The core components of the Uzbek high-speed vehicle, which led to the first ever domestic high-speed vehicle export last year, will be exhibited for the first time in person, and models of the KTX-Sancheon (concentrated power) and KTX-Cheongryong (distributed power) high-speed vehicles will also greet visitors.

 

Unlike the centralized type with the power unit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vehicle, the distributed type vehicle with the power unit installed in all vehicles is a model preferred in the global market due to its high acceleration/deceleration and transport efficiency. The Uzbek high-speed vehicle is also a distributed type vehicle designed based on the KTX-Ieum, and it is symbolic in that the domestically accumulated high-speed vehicle manufacturing and operation performance has been recognized overseas.

 

A Hyundai Rotem official said, “The first ever export of a domestically produced high-speed train and the smooth progr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hydrogen, a next-generation energy source, are all thanks to the citizens who trusted and used the K-rail technology,” and “We will continue to do our utmost to elevate the status of the K-rail in the global market and to repay their trust.”

 

제보는 breakgn@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