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청회는 시민, 운수업체와 운수노조 관계자, 준공영제 추진 자문위원 등 약 200명이 참석해 개편방안 설명, 질의응답, 의견 청취 순으로 진행됐다.
홍태용 시장은 공청회에서 김해형 시내버스 운영체계 개편의 추진 배경과 주요 내용, 김해형 대중교통 무료화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대중교통 비전2030 전략을 발표했다.
▲김해형 시내버스 운영체계 개편 추진 배경 주 52시간 근무 시행으로 인한 인건비 증가, 유류비 등 물가 상승으로 인해 운송비용은 증가한 반면 승용차 이용 증가와 인구 감소 등으로 버스 이용자가 줄면서 시내버스 업체의 경영이 악화돼 왔다. 이에 김해시는 준공영제를 도입한 타 지자체의 사례를 검토하고 전 노선 재정 지원 중인 김해 실정에 맞는 시내버스 운영체계를 도입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타 지자체 준공영제 운영 실태 2004년 서울시를 시작으로 전국 10개 도시에서 시행 중인 준공영제는 이용자 만족도 향상, 사고 감소, 종사자 처우 개선 등의 성과는 있지만 재정지원금이 지난 10년간 연평균 13.5% 증가하며 지자체 재정에 부담이 되고 있다. 또 준공영제 하에서도 임금체불, 파업이 반복되며 버스 공공성 강화와 안정적 서비스 제공이라는 도입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김해형 시내버스 운영체계(준공영형 목표원가관리제) 이에 김해시는 기존 준공영제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 김해형 버스운영 체계인 준공영형 목표원가관리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준공영제의 경우 업체의 안정적 경영이 가능하나 업체의 비용 절감 노력을 저하시킨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김해시는 준공영형 목표원가관리제를 내년 1월 목표로 도입해 지자체가 정한 사전목표원가 내에서 업체의 비용을 보전해 안정적 경영을 지원하고 업체는 목표원가 내에서 비용 절감을 도모해 이윤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운송원가 정산기준에 차수제를 도입하고 운전직 인건비를 실 정산해 우선 지급, 임금체불을 방지할 계획이다.
향후 10년간 재정지원금 누적총액을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타 지자체와 동일한 방식의 준공영제 도입과 비교할 때 준공영형 목표원가관리제가 1,033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김해형 대중교통 무료화 사업(김해패스)=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은 전 세계 200여개 국가와 도시에서 시행 중으로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낳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정부 차원의 k패스, 경남도 차원의 경남패스를 시행 중이며 이에 발맞춰 김해시도 김해형 대중교통 무료화 정책인 김해패스 도입을 추진한다.
김해시민을 대상으로 월 5,000원의 자부담을 적용하고 월 40회 한도 내에서 초과된 대중교통 요금을 다음 달에 제로페이로 환급해 대중교통 이용 증대,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내년 청소년 대상 시내버스 부문부터 적용하며 시행 효과와 예산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대중교통 비전2030 이날 발표한 대중교통 비전2030은 대중교통 무상교통체계, 사람중심 버스노선체계, 상생형 네트워크체계 3개 전략 하에 12개의 하부과제를 수립, 시행한다.
김해시는 △대중교통 무료화정책 △현금 없는 버스 △김해형 표준운송원가(목표원가관리제) 산정 △대중교통혁신위원회 구성 △이용자 중심의 버스노선 개편 △급행버스 도입 및 수요응답형 교통 확대 △버스정보안내기 확대 구축 △운수종사자 개별평가 및 친절도 향상 △버스공급 확대 및 총량제 시행 △친환경 저상버스 확대 △광역환승요금 무료화 △민원 없는 행복버스 조성의 12개 하부과제를 추진해 2030년에 대중교통 비전2030을 완성할 계획이다.
홍태용 시장은 “앞으로 재정 확보와 이해당사자 간 합의점 도출 등 해결해 나가야 할 여러 현안들이 있겠지만 우리 시 대중교통의 안정적 운영과 시민 중심의 편리한 교통체계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해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elow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using ‘Google Translate’.‘Google Translate’ is working to increase understanding.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Mayor Hong Tae-yong of Gimhae City announces ‘Public Transportation Vision 2030’
Free public transportation ‘Gimhae Pass’ introduced
On the 16th at 4 PM, Gimhae City held a public hearing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Gimhae-type city bus operation system at the Gimhae Small and Medium Business Center conference room.
The public hearing was attended by approximately 200 people including citizens, transportation companies, transportation union members, and advisory committee members for the promotion of the semi-public system, and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explanation of the reorganization plan, Q&A, and listening to opinions.
At the public hearing, Mayor Hong Tae-yong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main content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Gimhae-type city bus operation system, the Gimhae-type free public transportation project, and announced the Public Transportation Vision 2030 strategy.
▲Background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Gimhae-type city bus operation system While transportation costs have increased due to increased labor cost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52-hour workweek and rising prices such as fuel costs, the management of city bus companies has deteriorated as the number of bus users has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passenger cars and the decrease in the population. Accordingly, Gimhae City is reviewing the cases of other local governments that have introduced the semi-public system and is promoting a reorganization to introduce a city bus operation system that is suitable for Gimhae, which is currently providing financial support for all routes, in order to provide stable services.
▲Operation status of the semi-public system in other local governments Starting with Seoul in 2004, the semi-public system, which has been implemented in 10 cities nationwide, has achieved results such as increased user satisfaction, reduced accidents, and improved treatment of workers, but it is becoming a burden on local government finances as financial support has increased by an average of 13.5% per year over the past 10 years. In addition, wage arrears and strikes have been repeated even under the semi-public system, undermining the purpose of introducing it to strengthen the public nature of buses and provide stable services.
▲Gimhae-type city bus operation system (semi-public type target cost management system) Accordingly, Gimhae City plans to introduce the semi-public type target cost management system, a Gimhae-type bus operation system that utilizes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semi-public system and complements its disadvantages. The semi-public system allows stable management of companies, but reduces the companies’ efforts to reduce costs. To supplement this, Gimhae City will introduce a semi-public type target cost management system by January of next year to support stable management by securing the company's costs within the pre-target cost set by the local government, and allow the company to secure profits by reducing costs within the target cost. In addition, it plans to introduce a step system for the transportation cost settlement standard and to prevent wage arrears by calculating the actual labor costs of drivers and paying them first.
When comparing the total accumulated financial support amount over the next 10 years, it is estimated that the semi-public type target cost management system will have a cost saving effect of KRW 103.3 billion compar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same semi-public system as other local governments.
▲Gimhae-type free public transportation project (Gimhae Pass) = The fre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is being implemented in over 200 countries and cities around the world and is producing various positive effects. In the case of Korea,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the K-Pass and the Gyeongnam Pass at the Gyeongnam Province level, and in line with this, Gimhae City is also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the Gimhae Pass, a fre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of Gimhae type.
A self-payment of 5,000 won per month will be applied to Gimhae citizens, and excess public transportation fares within the limit of 40 times per month will be refunded as Zero Pay the following month to increase public transportation use and vitalize the local economy. It will be applied starting from the city bus sector for youth next year, and will be gradually expanded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effect and budget.
▲Public Transportation Vision 2030 The Public Transportation Vision 2030 announced on this day establishes and implements 12 subtasks under three strategies: a fre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 people-centered bus route system, and a win-win network system.
Gimhae City plans to complete the Public Transportation Vision 2030 by 2030 by promoting 12 sub-tasks: △Fre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Cashless buses △Gimhae-type standard transportation cost (target cost management system) calculation △Establishment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Innovation Committee △Reorganization of bus routes centered on users △Introduction of express buses and expansion of demand-responsive transportation △Expansion and installation of bus information devices △Individual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workers and improvement of friendliness △Expansion of bus supply and implementation of total quantity system △Expansion of eco-friendly low-floor buses △Free metropolitan transfer fare △Creation of happy buses without complaints.
Mayor Hong Tae-yong said, “There are many pending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future, such as securing finances and reaching an agreement among stakeholders, but we will do our best to resolve them for the stable operation of our city’s public transportation and establishment of a convenient transportation system centered on citizens.”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