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경남도, 미래교육 혁신모델 구축 지원사업 올해 첫 추진

인공지능(AI), 독서토론 등 학교별 특화프로그램 지원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5/06/16 [11:28]

경남도, 미래교육 혁신모델 구축 지원사업 올해 첫 추진

인공지능(AI), 독서토론 등 학교별 특화프로그램 지원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5/06/16 [11:28]

▲ 경남도청


[브레이크뉴스=이성용 기자] 경남도는 지역 교육력 강화를 통해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하고자 ‘미래교육 혁신모델(G-NEXT) 구축 지원사업’을 올해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미래교육 혁신 모델(G-NEXT)는 경남(G)의 새로운(New) 교육 경험(Edu eXperience)과 혁신(Transformation)으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기르고 경남의 특화 자원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교육환경 조성하는 교육모델이다.

 

경남도는 각 학교의 특성과 지역 여건이 반영된 혁신적인 교육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학교가 지역자원을 활용해 저마다 특성을 반영한 특화 프로그램을 구성하면 지자체와 유관기관이 이에 협력하는 등 교육 주체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교육발전특구 과제와 연계해 경남의 특색있는 교육모델을 개발·확산하는 이 사업은 도내 학교를 대상으로 지난 4월 30일부터 5월 16일까지 공모해 심사한 결과 총 10곳을 선정했다.

 

특히, 교육발전특구가 아닌 지역의 학교도 포함돼 있어 이곳에서도 특구 주요 과제를 연계 추진함으로써 특구 효과는 더욱 확산할 것으로 기대된다.

 

선정된 학교의 주요 프로그램은 △ 학생 주도 융합콘텐츠 제작, 생성형 인공지능(AI) 도구 활용 등 디지털 특화교육 △ 전공 탐색형 독서 활동 및 책을 읽고 질문과 토론을 진행하는 독서 프로그램 △ 국제 인증 교육과정 도입, 외국어 말하기 학습 등 글로벌 교육 △ 학생이 주도하여 지역문제를 탐색하고 해결하는 활동인 지역 미래 프로젝트 등이 있다.

 

윤인국 도 교육청년국장은 “지역을 선도하는 학교 육성으로 경남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경남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교육발전특구에 버금가는 효과를 경남 전역으로 확산시키고, 나아가 청년 인구 유출 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남도는 사업 종료 후 성과를 분석해 지원 대상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학교 간 우수사례를 공유하여 지속 가능한 교육 혁신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선정학교는 (창원) 경일여자고등학교, 창원과학고등학교, 창원남고등학교, (사천) 삼천포중앙고등학교, 용남고등학교, (김해)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거창) 거창승강기고등학교, (합천) 초계고등학교, (하동) 옥종고등학교, 진교고등학교 등 10개교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nam Province, Future Education Innovation Model Construction Support Project to be launched for the first time this year

Support for specialized programs by school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ading discussions

 

Gyeongnam Province announced on the 16th that it will be launching the ‘Future Education Innovation Model (G-NEXT) Construction Support Project’ in earnest this year to overcome the crisis of regional extinction through strengthening regional educational capabilities.

 

The Future Education Innovation Model (G-NEXT) is an educational model that fosters core capabilities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through Gyeongnam (G)’s new (New) educational experience (Edu eXperience) and innovation (Transformation) and creates an innov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by utilizing Gyeongnam’s specialized resources.

 

Gyeongnam Province will support the creation of an innovative educational model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conditions of each school, and when schools utilize regional resources to organize specialized programs that reflect their characteristics,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will cooperate, and the educational entities will directly plan and operate the program.

 

This project, which develops and expands Gyeongnam’s unique education model in conjunction with the educational development special zone project, selected a total of 10 schools through a public contest held from April 30 to May 16 for schools in the province.

 

In particular, schools in non-education development special zones are also included, so the special zone effect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by linking and promoting the special zone’s main projects there as well.

 

The main programs of the selected schools include: △ Digital specialized education such as student-led convergence content production and use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ols; △ Reading programs that explore major fields and conduct questions and discussions while reading books; △ Global education such as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ly certified curriculum and foreign language speaking learning; △ Local future projects, which are student-led activities to explore and solve local issues.

 

Yoon In-guk, the director of the Gyeongnam Youth Bureau, said,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foster tal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of Gyeongnam by fostering schools that lead the region,” and added, “Through this project, Gyeongnam Province will be able to spread the effects comparable to the education development special zone throughout Gyeongnam Province and further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of youth population outflow.”

 

Meanwhile, Gyeongnam Province plans to analyze the results after the project ends and gradually expand the support target, and actively support the sharing of best practices among schools so that they can become sustainable models of educational innovation.

 

The selected schools are 10 schools: (Changwon) Gyeongil Girls’ High School, Changwon Science High School, Changwon Boys’ High School, (Sacheon) Samcheonpo Central High School, Yongnam High School, (Gimhae) Gimhae Construction and Industrial High School, (Geochang) Geochang Elevator High School, (Hapcheon) Chogye High School, (Hadong) Okjong High School, and Jinkyo High School.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