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어린이에게 희망을...따오기에게 자연을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 일곱 번째 따오기 야생방사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3/05/04 [18:13]

어린이에게 희망을...따오기에게 자연을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 일곱 번째 따오기 야생방사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3/05/04 [18:13]

▲ 따오기 30마리를 4일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우포늪 자연으로 돌려보냈다.  © 이성용 기자


[브레이크뉴스=이성용 기자] 경상남도는 4일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환경부, 문화재청, 창녕군과 함께 일곱 번째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행사를 개최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어린이날을 맞이하여 ‘어린이에게 희망을, 따오기에게 자연을’이라는 주제로 인근 유어초등학교 학생 18명을 초대해 의미를 더했으며, 참석한 어린이들은 따오기 동요와 어린이날 동요를 차례로 불러보는 시간을 가졌다.

 

따오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이자 천연기념물 198호이며, 1979년 비무장지대에서 목격된 것을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멸종됐고, 2008년부터 창녕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증식·복원 중이다.

 

이번에 방사할 따오기는 암컷 16마리, 수컷 14마리이며, 야생에서의 적응도가 높은 개체들을 선발해서, 사회성훈련 및 사냥훈련, 회복 훈련 프로그램 등을 거쳐 야생 적응력을 높였다.

 

따오기 야생방사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간 6차례의 방사를 통해 총 240마리의 따오기를 야생으로 돌려보냈으며, 창녕군에서 실시하는 모니터링 결과 현재 100여 마리(생존율 약 42%) 정도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에는 방사한 우포따오기 두 개체가 부산 해운대,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하였으며, 일부 개체들은 사천, 하동, 밀양을 비롯해 전북 남원과 강원도 강릉까지도 먹이활동을 나섰다.

 

▲ 유어초등학교 학생 18명을 초대해 따오기 동요와 어린이날 동요를 차례로 불러보는 시간을 가졌다.  © 이성용 기자


한편, 방사된 따오기는 조류 전문가(4명)와 따오기 시민모니터링단(17명)을 활용하여, 따오기 서식지의 정밀 조사 및 생존 여부, 활동 지역, 이동패턴 등을 지속적으로 조사·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따오기의 잠재적 서식지 발굴 및 위협요인 제거, 저감대책 등을 마련하고 타 지역에서의 방사 및 복원 지역 확대 여부 등도 검토할 계획이다.

 

정석원 경상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야생으로 돌아간 따오기가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 속에서 건강하게 서식할 수 있도록 지원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Hope for Children... Nature for Tokis

Changnyeong-gun Upo Toki Restoration Center released the seventh ibis into the wild

 

On the 4th, Gyeongsangnam-do held the seventh upo ibis wild release event at the Upo Toki Restoration Center in Changnyeong-gun, along wi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Changnyeong-gun.

 

In particular, this event added meaning to Children's Day by inviting 18 students from a nearby Yueo Elementary School under the theme of 'Hope for Children, Nature for Tokis'. I had time.

 

The ibis is a Class 2 Endangered Wildlife and Natural Monument No. 198. It was last seen in the Demilitarized Zone in 1979 and became extinct in Korea.

 

The ibises to be released this time are 16 females and 14 males, and individuals with high adaptability to the wild were selected, and their adaptability to the wild was enhanced through sociality training, hunting training, and recovery training programs.

 

From 2019 to last year, a total of 240 tokis were returned to the wild through six releases over four years, and as a result of monitoring conducted in Changnyeong-gun, about 100 tokis (survival rate of about 42%) are currently alive. It is estimated that

 

Recently, two released Upo ibises were spotted resting in Haeundae, Busan, and Junam Reservoir in Changwon, and some individuals went on feeding activities in Sacheon, Hadong, Miryang, as well as Namwon, Jeonbuk, and Gangneung, Gangwon-do.

 

Meanwhile, for released ibises, bird experts (4 people) and an ibis citizen monitoring group (17 people) are used to conduct detailed investigations of the ibis habitat, survival status, activity areas, and movement patterns, etc., to be continuousl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it plans to discover potential habitats for ibises, remove threatening factors, prepare reduction measures, and review whether to expand release and restoration areas in other regions.

 

Jeong Seok-won, head of the Environment and Forestry Bureau of Gyeongsangnam-do, said, "We will continue to support the tokis that have returned to the wild so that they can live in a safe and clean environment."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