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 경화시장 점포 소유권 분쟁'에 상인들 진해군항제 대목 놓칠라창원시 "경화시장은 공설시장"
|
[브레이크뉴스=이성용 기자] 창원시가 진해 경화시장 소유권을 두고 경화시장 상인들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주장으로 행정심판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진해구와 상인들도 결과에 따른 조치를 취할 것임을 밝히고 결과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공설시장 점포 사용허가를 받은 상인들의 재임대 논란으로 불거진 진해구 경화시장 사용허가 취소 처분에 대해 빠르면 이달 안으로 행정심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사용허가 대상에서 제외된 상인들이 군항제 '대목'을 앞두고 한숨을 쉬고 있다.
상인회는 공설시장 점포는 창원시가 유지관리를 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사유재산이라는 상인회 측 주장과, 보수를 하지 않았더라도 건물에 대한 사용허가 및 사용료 징수 등 현재까지 건물에 대한 권리를 행사해 왔기 때문에 시 소유가 맞다는 창원시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경화시장은 오랜시간 똑같은 문제로 서로의 주장을 내세우면서 갈등을 키원왔고 지난 6월 언론보도를 통해 논란이 점화되면서 양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유지하고 있다. 진해 경화시장에는 현재 총 143개의 점포가 영업중인데, 언론보도에 따른 창원시의 전수조사를 거쳐 97개 점포는 사용허가를 받아 정상영업 중이고 나머지 46개 점포는 사용허가 대상에서 제외됐다.
사용허가에서 제외된 46개 점포 중 17개는 주거용으로 사용돼 왔고 16개는 미사용 점포, 13개 점포는 재임대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창원시가 언론보도와 창원시의회의 '공설시장 개설 및 운영관리 조례' 개정안 의결 이후 총 46개 점포에 대해 사용허가 갱신 불가 방침을 확정 통보하자 해당 점포 상인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한 뒤 지난 달 22일 기자회견을 통해 소유권을 주장하는 등 강력 반발해 왔다.
비대위와 창원시의 입장 차이는 '공설시장'에 대한 해석부터 다르다. 비대위는 창원시가 직접 비용을 들여 공사를 하거나 건축한 시장을 뜻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반면, 창원시는 ‘공설시장은 상설시장, 정기시장, 임시시장으로 구분한다.’라고 명시한 조례와 이 조례상의 [별표1] 시장 명칭과 위치에 경화시장이 명시돼 있다는 입장이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15조에서는 공설시장을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설하여 관리하고 있는 시장'으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비대위는 그동안 시에서 유지관리를 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사유재산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시는 법원의 등기부등본과 지금까지 건물에 대한 권리를 행사해 왔기 때문에 창원시 소유가 맞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명의변경과 관련해서도 비대위는 "창원시에서 명의변경을 해줬기 때문에 소유권이 개인에게 있다"는 주장이고, 시는 명의변경에 대해 "소유권에 대한 부분이 아니라 사용허가 권리에 대한 승계를 의미한다"고 해석했다.
비대위가 선임한 이원기 변호사는 지난 2월 경화시장 쟁점에 대한 의견서를 통해 "경화시장은 대한민국 광복 후 개설 허가된 시장으로서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시장의 공공성과 물가안정을 빌미로 행정기관의 관리를 받아야 된다는 행정기관의 인식에 따라 공설시장으로 허가를 받은 것 자체에서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출발했다"고 지적했다.
이 변호사는 또 "당시 진해시가 허가를 내주고 관리를 한 것은 맞지만 상인들의 돈으로 시장을 개설했고, 상인들이 70년 가까이 시장을 번영시켜 왔는데, 그 사이에 진해시는 아무런 근거없이 토지와 건물을 자신들의 소유로 등기하는 불법 행위를 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상인들의 삶의 굴곡은 무시한 채 제3자 임대는 공설시장의 취지에 반한다는 단순히 공설시장의 이미지에 더해 경화시장의 역사를 모르는 정치인과 언론들에 대해 경화시장의 역사가 부정당하고 시장 상인들의 명예가 훼손되는 결과가 초래했다"고 덧붙였다.
비대위 상인들의 대리인으로 경상남도행정심판위원회에 행정심판을 청구한 이원기 변호사는 경화시장은 출발에서 현재까지의 과정을 보면 경화시장은 상인들에게 소유권을 돌려주어야 하고, 공설시장이 아닌 사설시장으로 새로운 출발을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조례개정 등을 통해 진해 경화시장 문제를 처음 제기한 정순욱 창원시의원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상인회에 소속된 점포 상인 1명이 2~3개의 점포를 임대받아 재임대를 해주고 임대료를 개인통장으로 받아 수익을 챙기는 관행이 적지 않게 확인됐다"며 "용역을 의뢰해 공설시장으로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개별적으로 분양해 사설시장으로 변경하든지 합리적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부울경언론연대 공동취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Jinhae Gyeonghwa Market Store Ownership Dispute, Merchants Don't Miss Jinhae Gunhangje Festival
Changwon City "Kyunghwa Market is a public market"
Merchants "No, it's private property"
Changwon City Council member Jeong Soon-wook “We need to redefine the nature of the market”
Changwon City is waiting for the result of the administrative judgment due to the claim of ownership of Jinhae Gyeonghwa Market, which is in direct confrontation with the merchants of Gyeonghwa Market. Jinhae-gu and merchants are also making it clear that they will take 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nd are keeping a close eye on the results.
With the result of an administrative judgment expected to come out within this month at the earliest regarding the cancellation of the license to use Kyeonghwa Market in Jinhae-gu, which arose due to the controversy over the re-leasing of merchants who received permission to use public market stores, merchants excluded from the subject of permission to use the Gunhangje Festival He sighs ahead.
The Merchant Association claimed that the public market stores were private property because Changwon City did not maintain them, and even if they had not been repaired, they had exercised their rights to the building, such as permission to use the building and collection of fees, so that the city owned it. Changwon City's argument that it is correct is fiercely contested.
For a long time, the kyunghwa market has been raising conflicts by putting forward each other's arguments on the same issue, and as the controversy ignited through media reports in June, the arguments of both sides are maintaining parallel lines. A total of 143 stores are currently in operation in Jinhae Gyeonghwa Market, and 97 stores have received permission to use and are operating normally after a full investigation by Changwon City according to media reports, and the remaining 46 stores are excluded from the subject of permission to use.
Of the 46 stores excluded from permission to use, 17 were used for residential purposes, 16 were unused, and 13 were excluded from re-leasing.
As such, when Changwon City confirmed and notified the policy of not renewing the use permit for a total of 46 stores after the media report and the Changwon City Council's resolution of the 'Public Market Opening and Operation Management Ordinance' revision, the store merchants formed an emergency committee and on the 22nd of last month It has been strongly opposed, such as claiming ownership through a press confere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ergency committee and Changwon City is different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public market'. While the non-capital committee insists that it refers to a market that has been constructed or constructed by the city of Changwon at its own expense, the city of Changwon has an ordinance stipulating that 'public markets are divided into permanent markets, regular markets, and temporary markets.' 1] It is the position that the hard currency market is specified in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market. Article 15 of the Special Act on Promotion of Traditional Markets and Shopping Malls defines public markets as 'markets established and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non-capital committee is claiming that it is private property because the city has not maintained it, and the city maintains the position that it is owned by Changwon City because it has exercised its rights to the building so far and a certified copy of the court register. Regarding the name change, the non-capital committee insists that "the ownership belongs to the individual because the city of Changwon changed the name," and the city said about the name change, "It means succession to the right to use permission, not part of the ownership." and interpreted
Attorney Won-ki Lee, appointed by the non-capital committee, said in a written opinion on the issue of the Gyeonghwa market in February, "Kyunghwa market is a market that was allowed to open after the liber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it started with a fundamental problem in obtaining permission as a public market.”
Attorney Lee also said, “It is true that Jinhae City granted permission and managed it, but the market was opened with merchants’ money, and merchants have prospered the market for nearly 70 years. He claimed that he committed an illegal act of registering as possession.
At the same time, he said, "In addition to the image of the public market that third-party rentals are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public market while ignoring the twists and turns of merchants' lives, the history of the currency market is denied to politicians and media who do not know the history of the currency market. Their reputation was damaged,” he added.
Attorney Won-ki Lee, who filed an administrative appeal with the Gyeongsangnam-do Administrative Appeals Commission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non-capital merchants, said, “Looking at the process of Gyeonghwa Market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the market must return ownership to the merchants, and a new start as a private market rather than a public market. will have to do,” he said.
On the other hand, Changwon City Councilman Jeong Soon-wook, who first raised the issue of the Jinhae Gyeonghwa market through ordinance revision,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media, "A store merchant belonging to a merchant association leased 2 or 3 stores, re-leased them, and received the rent in a personal bank accou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are not a few practices of making profits," he said. "The best alternative would be to draw a reasonable conclusion, whether to maintain it as a public market by requesting a service, or change it to a private market by selling it individually." Kyunghyang Press Solidarity joint co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