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인권 최우선하던 박종훈 교육감, 왜 달라졌나”노치환 도의원, 아이톡톡 플랫폼 통한 “개인정보 수집은 권리침해”
노 의원은 20일 열린 제398회 경상남도의회 정례회 2021회계연도 경상남도교육청 결산 승인 심사에서 아이톡톡을 통해 수집한 학생 개인정보를 진로지도 데이터로 쓰겠다는 경남교육청의 계획에 대해 “개인정보는 다른 정보가 가지지 않는 자산으로 평가될 정도로 그 가치를 존중받고 있어 개인정보의 통제는 자신의 권리인 동시에 인권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밝히며 “학생들의 개인정보에 있어서의 자기결정권이 충분히 존중받고 있는지 의문이다”고 지적했다.
노 의원은 “교육청은 기본권에 대한 법리검토를 마치고, 학생들이 개인정보 수집을 거부할 경우 거부권 행사 또한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학생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한다는 것 자체가 박종훈 교육감이 밝혀온 학생인권존중의 기조와 부합하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경남교육청이 수집하는 학생 개인정보가 진로지도를 위한 데이터로 쓰인다는 사업목적이 학부모들에게 충분히 고지되었는지, ▲이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양자 모두의 이해를 근거로 정보제공동의가 이뤄졌는지 의문을 표하며 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노 의원은 아이톡톡 실제 학생 접속현황을 공개하며 아이톡톡의 효용성에도 의문을 표했다.
경남교육청에 따르면 스마트단말기 보급이 끝난 초등학교의 경우 지난 6월 기준 아이톡톡 주 평균 접속자수는 35만5천 명이다. 이를 주말을 제외한 등교일 5일 기준으로 환산하면 하루 7만1천 명이 접속하는 셈이다.
노 의원은 이에 대해“학교수업에서 아이톡톡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는 일정 시수가 있는 것으로 아는데, 도내 초등학생 수가 약 18만 명인 것에 비하면 학교수업 외에는 학생들이 아이톡톡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봐야 할 정도로 활용도가 낮다”며 “기기보급과 프로그램개발 등 관련 사업에 2000억 원 가까이 예산이 투입된 것에 비해 효용성에 의문이 든다. 이 예산이 더욱 긴급한 교육현안에 투자 되었다면 그 효과성은 다르지 않았겠느냐”고 반문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Why did Superintendent Park Jong-hoon, who prioritized student human rights, change?”
Provincial Assemblyman Noh Chi-hwan, “Coll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es rights” through iTalk platform
Regarding the collection of student data through iTalk Talk, a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platform, which the Gyeongnam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carrying out as a major project, Gyeongnam Provincial Assemblywoman Noh Chi-hwan said, “Collecting student personal information is based on the highest value of respecting individual students’ rights, and It is a project that has lost the spirit of Superintendent Park Jong-hoon, who led it,” he pointed out on the 20th.
Rep. Roh talked about the Gyeongnam Office of Education’s plan to us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students collected through iTalk Talk as career guidance data at the 398th Gyeongsangnam-do Provincial Assembly regular meeting held on the 20th to approve the fiscal year 2021 settlement of accounts by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The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is respected enough to be evaluated as an asset that one does not have, so the control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only one's right but also deeply related to human rights. ” he pointed out.
Rep. Roh said, “The Office of Education has completed legal review on basic rights and states that if students refuse to collect personal information, the right to veto is being exercised sufficiently. It is inconsistent with the spirit of the
In addition, we questioned whether the purpose of the project that the student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Gyeongnam Office of Education was used as data for career guidance was sufficiently notified to parents, and whether consent was give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both students and parents. He insisted that this should be checked.
Rep. Noh revealed the actual student access status of iTalk Talk and questioned the effectiveness of iTalk Talk.
According to the Gyeongnam Office of Education,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where the distribution of smart terminals has been completed, the average number of weekly iTalk Talk users as of June is 355,000. Converting this to five school days excluding weekends, this means that 71,000 people a day log in.
Regarding this, Assemblyman Noh said, “I know that there is a certain number of times when it is compulsory to use iTalk Talk in school, but compared to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rovince of about 180,000, the usage is so low that it can be said that students hardly use it except for school classes. “Compared to the fact that nearly 200 billion won was spent on related projects such as device dissemin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he effectiveness is questionable. If this budget had been invested in more urgent educational issues, the effectiveness would not have been different.”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는 breakgn@naver.com
댓글
|
많이 본 기사
|